1012 유기농 배추.
2022. 12. 20. 22:21ㆍboj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12
[1012번: 유기농 배추
차세대 영농인 한나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유기농 배추를 재배하기로 하였다. 농약을 쓰지 않고 배추를 재배하려면 배추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, 한나는 해충 방지에
www.acmicpc.net](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12)
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.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첫째 줄에는 배추를 심은 배추밭의 가로길이 M(1 ≤ M ≤ 50)과 세로길이 N(1 ≤ N ≤ 50), 그리고 배추가 심어져 있는 위치의 개수 K(1 ≤ K ≤ 2500)이 주어진다. 그 다음 K줄에는 배추의 위치 X(0 ≤ X ≤ M-1), Y(0 ≤ Y ≤ N-1)가 주어진다. 두 배추의 위치가 같은 경우는 없다.
문제를 보면 결국 인풋이 들어왔을 때 그 위치를 기준으로 배추가 있는 곳으로는 지렁이가 움직일 수 있다.
따라서
기본적으로 지렁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코드를 구현했고
int map[51][51];
int n, m, l;
int mx[] = {0, 0, 1, -1};
int my[] = {1, -1, 0, 0};
void move(int x, int y)
{
for (int i = 0; i < 4; ++i) {
int _x = x + mx[i];
int _y = y + my[i];
if (_x >= 0 && _x < n && _y >= 0 && _y < m) {
if (map[_x][_y] == 1) {
map[_x][_y] = 2;
move(_x, _y);
}
}
}
}
와 같이 로직을 체크하는 함수를 만들었다. 결국 지렁이는 1일때만 이동하고 처음 이동을 시작한 위치 마다 카운트가 되어야 한다는것을
기준으로 잡고
int solve(vector<vector <int>> v)
{
int cnt = 0;
int i;
for (i = 0; i < v.size(); ++i) {
if (map[v[i][0]][v[i][1]] == 1)
{
++cnt;
map[v[i][0]][v[i][1]] = 2;
move(v[i][0], v[i][1]);
}
}
return (cnt);
}
위와 같이 해결하는 로직을 구현했다.
'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697 숨바꼭질. (0) | 2022.12.21 |
---|---|
1021 회전하는 큐. (0) | 2022.12.21 |
수열의 합 1024 (0) | 2022.12.21 |
1010 다리놓기 (0) | 2022.12.19 |
눈치우기 (boj 26215) (0) | 2022.12.19 |